QA/PM

빅테크 회사에서 '일을 끝냈다(Done)'는 것의 진짜 의미

eddiej24 2025. 6. 5. 20:23

빅테크 회사에서 '일을 끝냈다(Done)'는 것의 진짜 의미

 

 - Done은 무한히 개선 가능한 시스템 속에서 회사가 만족하는 상태까지 마무리 짓고, 떠나는 것을 의미함
 - 유능하지만 주도성이 부족한 엔지니어는 계속해서 사소한 개선만 반복하며 진짜 성과를 놓치게 됨
 - 의사결정자에게 눈에 띄는, 명확한 결과물을 전달해야 "일을 한 것"으로 인정받을 수 있음
 - 자신이 하는 일이 상위 관리자에게 얽히고 평가될 수 있는 형태인지 항상 점검해야 함

'일'은 완결될 수 없는 속성을 가짐

 - 서비스 개발은 무한히 개선이 가능한 열린 시스템으로, 계속 관리가 필요함

덫에 빠진 유능한 엔지니어

 - 스스로 모든 일을 감당하며 작고 연속적인 개선만 반복하는 엔지니어는 성과를 내고 있다고 느끼지만
 - 상위 관리자 입장에서는 "회사의 가시적 가치 창출"이 없다고 판단됨
 - 결과적으로 성과 없는 바쁜 사람처럼 오해받을 수 있음

'끝낸다'는 것의 실제 의미

 - 회사(의사결정자)가 만족하는 지점까지 이르게 하고, 다음으로 넘어가는 것
 - 명확한 성과 리스트를 만들어야 함
 - "끝났음"을 선언하고 다음 일로 넘어가는 결단력이 중요함

일의 '가독성' 확보

 - 기본적으로 대부분의 기술 작업은 관리자에게는 판단하기 어려운 기술적 잡음에 불과함
 - 따라서, 성과를 눈에 보이는 형태로 만들거나 금전적 효과를 강조하는 등, 읽히도록 조율해야 함

요약

 - 정원사가 아니라 성과 중심의 전술가가 되어야 함
 - "끝냈다"의 기준은 회사/관리자의 만족
 - "승리 선언 → 떠나기 → 다음 일로"가 핵심 전략

 


Eddie 메모

 - 직원 개인의 신속함, 정확함과 같은 일을 처리함에 있어 필요한 유능함(이 가져오는 결과)이 아닌,
    야근 여부에 따른 성과 인정 시스템은 늘 아쉬움으로 남는다.
    예시 1) Deadline을 지키는 것보다, Deadline을 미루지만 야근하는 직원 성과가 고평가 됨

    예시 2) 업무시간에 2시간씩 담배 피우며 자리 비우고 야근하는 직원이, 착실하게 일하고 정시 퇴근하는 직원(성과도 더 뛰어난 직원)보다 고평가 됨

 

 

 

출처 - geek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