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테크 회사에서 '일을 끝냈다(Done)'는 것의 진짜 의미
- Done은 무한히 개선 가능한 시스템 속에서 회사가 만족하는 상태까지 마무리 짓고, 떠나는 것을 의미함
- 유능하지만 주도성이 부족한 엔지니어는 계속해서 사소한 개선만 반복하며 진짜 성과를 놓치게 됨
- 의사결정자에게 눈에 띄는, 명확한 결과물을 전달해야 "일을 한 것"으로 인정받을 수 있음
- 자신이 하는 일이 상위 관리자에게 얽히고 평가될 수 있는 형태인지 항상 점검해야 함
'일'은 완결될 수 없는 속성을 가짐
- 서비스 개발은 무한히 개선이 가능한 열린 시스템으로, 계속 관리가 필요함
덫에 빠진 유능한 엔지니어
- 스스로 모든 일을 감당하며 작고 연속적인 개선만 반복하는 엔지니어는 성과를 내고 있다고 느끼지만
- 상위 관리자 입장에서는 "회사의 가시적 가치 창출"이 없다고 판단됨
- 결과적으로 성과 없는 바쁜 사람처럼 오해받을 수 있음
'끝낸다'는 것의 실제 의미
- 회사(의사결정자)가 만족하는 지점까지 이르게 하고, 다음으로 넘어가는 것
- 명확한 성과 리스트를 만들어야 함
- "끝났음"을 선언하고 다음 일로 넘어가는 결단력이 중요함
일의 '가독성' 확보
- 기본적으로 대부분의 기술 작업은 관리자에게는 판단하기 어려운 기술적 잡음에 불과함
- 따라서, 성과를 눈에 보이는 형태로 만들거나 금전적 효과를 강조하는 등, 읽히도록 조율해야 함
요약
- 정원사가 아니라 성과 중심의 전술가가 되어야 함
- "끝냈다"의 기준은 회사/관리자의 만족
- "승리 선언 → 떠나기 → 다음 일로"가 핵심 전략
Eddie 메모
- 직원 개인의 신속함, 정확함과 같은 일을 처리함에 있어 필요한 유능함(이 가져오는 결과)이 아닌,
야근 여부에 따른 성과 인정 시스템은 늘 아쉬움으로 남는다.
예시 1) Deadline을 지키는 것보다, Deadline을 미루지만 야근하는 직원 성과가 고평가 됨
예시 2) 업무시간에 2시간씩 담배 피우며 자리 비우고 야근하는 직원이, 착실하게 일하고 정시 퇴근하는 직원(성과도 더 뛰어난 직원)보다 고평가 됨
출처 - geeknews
'QA > PM'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팀이 너무 커졌을 때 (3) | 2025.07.30 |
---|---|
이터레이션(Iteration) (2) | 2025.07.17 |
Notion - 한 페이지에서 다중 DB 데이터 보는 방법 (0) | 2025.03.12 |
소프트웨어 튜토리얼 작성 규칙 (0) | 2025.03.05 |
맥킨지의 일하는 방식 - 문제해결과정 (2) | 2025.0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