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개발/사전 - IT용어사전 5

MCP(Model Context Protocol)

MCP(Model Context Protocol)요즘 곳곳에서 MCP라는 용어가 자주 보입니다. 지금까지 Protocol이구나, 하며 넘겼지만 이번 기회에 MCP에 대해 중점적으로 알아보았습니다. MCP(Model Context Protocol) AI 모델과 외부 데이터소스(또는 도구)를 연결하는 오픈 프로토콜입니다. 기존 LLM(언어 모델)이 자신에게 주어진 텍스트 외 별도 데이터 접근이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MCP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등장한 표준화된 프로토콜입니다. MCP의 핵심 목표는 AI 모델을 고립 상태에서 나아가, 현실 세계 데이터와 도구에 직접 접근하여, 보다 관련성 높고 유용한 응답을 생성하도록 하는 것입니다. 이런 표준화를 통해 개발자는 이전까지 각각 다른 API나 lib를 사용해..

IC(Individual Contributor), EM(Engineering Manager)

IC, EM 차이 한 줄 요약IC는 기술적 깊이를 쌓고 특정 분야의 전문가로 성장하는 반면, EM은 리더십 능력을 키우고 더 큰 팀이나 조직을 관리하는 역할로 성장 IC(Individual Contributor) 역할: IC는 팀의 일원으로서 특정 기술적 작업을 수행하는 전문가입니다. 주로 코딩, 디자인, 테스트 등 구체적인 업무를 담당합니다. 책임: 프로젝트의 특정 부분을 개발하고, 문제를 해결하며, 기술적 기여를 통해 팀의 목표를 달성합니다. 성장: 기술적 깊이를 쌓고, 특정 분야의 전문가로 성장할 수 있습니다. EM(Engineering Manager) 역할: EM은 팀을 관리하고, 프로젝트의 성공을 위해 팀원들을 지도하는 역할을 합니다. 주로 관리, 계획, 커뮤니케이션을 담당합니다. 책임: 팀의 ..

큐비트(qubit)

비트는 알지만, 큐비트는 무엇일까? 에서 시작된 궁금증입니다.큐비트(또는 양자 비트)양자 컴퓨팅의 기본 단위입니다. 고전 컴퓨터의 비트가 0 또는 1의 값을 가질 수 있는 것과 달리, 큐비트는 동시에 0과 1의 상태를 가질 수 있는 중첩(superposition)* 상태를 가질 수 있습니다. 또한, 큐비트는 얽힘(entanglement)*이라는 특성을 통해 다른 큐비트와 강하게 연결될 수 있어, 양자 컴퓨터가 특정 계산을 매우 빠르게 수행할 수 있게 합니다. *큐비트 중첩(superposition) 상태큐비트의 중첩 상태는 양자 컴퓨팅의 핵심 개념 중 하나입니다. 중첩 상태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고전 컴퓨터의 비트와 비교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고전 컴퓨터의 비트는 0 또는 1의 두 가지 상태 중 하나만 ..

IT플랫폼 정의

2024.6.21 금요일 작성자 요약 : OS, 시스템, 환경, 생태계 등 IT플랫폼의 정의를 나타내는 단어는 많지만 나는 생태계로 이해하려 한다.  우선 플랫폼의 사전적 의미를 찾아보았다.  IT에서 플랫폼의 의미를 찾아보았다. 플랫폼(platform)① 컴퓨터 시스템의 기반이 되는 소프트웨어가 구동 가능한 하드웨어 구조 또는 소프트웨어 프레임워크의 일종. 구조(architecture), 운영 체제(Operating System), 프로그래밍 언어, 그리고 관련 런타임 라이브러리 또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Graphic User Interface) 등을 포함한다. ② 비즈니스에서 여러 사용자 또는 조직 간에 관계를 형성하고 비즈니스적인 거래를 형성할 수 있는 정보 시스템 환경. 자신의 시스..

애드혹(Ad hoc) 테스팅

2024.6.20 목요일 출처 - 개발자도 알아야할 소프트웨어 테스팅 실무 제3판 p. 153"탐색적 테스팅은 애드혹(Ad hoc) 테스팅, ... 과 유사한 개념의 테스팅이지만, 정해진 임무(Tasks)와 목표(Objectives), 결과물(Deliverables)이 존재한다는 측면에서 다르다." p. 154"탐색적 테스팅을 깊이 있게 알지 못하는 경우, 탐색적 테스팅을 단순한 경험적 테스팅이나 애드혹 테스팅과 혼돈할 수 있는데 실제적으로는 완전히 다르다. 다양한 차이점이 존재하는데 가장 두드러진 차이점은 탐색적 테스팅이 차터 기반으로 제한된 시간 내에 몰입해서 테스팅을 수행하고, 설명 가능한 기록을 남기고 요약보고(Debriefing) 미팅을 갖는다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탐색적 테스팅이 일반적인 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