팀이 너무 커졌을 때 - 기술별(Front/Backend) 분리, 임시 피처팀, 외부 컨설턴트 활용 등 여러 실험이 있었으나, 결국 범용적 역할(제너럴리스트)로 전환이 가장 실질적 효과를 냄 - Mob 프로그래밍* 등 집단 협업은 지식 공유와 자기주도성, 책임감, 동기 부여를 촉진하며, 단일 분야 고집보다 결과 중심의 협업과 성장이 유리함 *Mob 프로그래밍: 한 명의 드라이버와 여러 명의 프로그래머가 하나의 PC로 코딩 또는 문서화 작업을 진행하는 개발 방식 - 단, 범용화의 부작용(전문성 저하, 번아웃 위험) 팀이 너무 클 때의 문제 동기/비동기(Slack 등) 스탠드업 대부분의 대화가 불필요 업무 전달 누락과 비공식 작업 발생 빈번 단순 보고서로 변질 다양한 분할/운영 실험 - 기술별(T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