맥킨지의 일하는 방식 - 문제해결과정
- 경영 환경의 변화가 커질수록 체계적, 논리적으로 문제에 접근하는 방식의 중요성이 커짐
어떤 문제에나 전략적 시각을 가지고 체계적, 논리적으로 접근하는 방식의 활용이 중요함
우리에게 필요한 과제 접근 방식은...- 일상의 과제도 새로운 시각에서 검토할 수 있도록 하고
- 해결해야할 과제에 대해 큰 그림을 잃지 않으면서도, 세부적 이슈까지 구조화하여 면밀히 검토할 수 있도록 하며,
- 정교하면서도 목적에 맞는 효과적/효율적 분석을 가능하게 하고,
- 프로젝트 팀의 어려운 과제 해결 역량을 키워줄 수 있어야 함
- 왜 7 Steps 문제 해결 접근 방식인가?
가장 중요한 문제를 명확히 정의하고 우선순위화를 통해 핵심에 집중함
사실과 데이터 기반의 가설을 사용함으로써 문제 해결 스피드를 높임
문제를 구조화함으로써 세부 요소와 큰 그림을 모두 놓치지 않음
- 핵심에 집중함으로써 기업 성과에 더 큰 효과
- 더 빠르게, 체계적으로 해답에 접근
- 시간과 자원의 효율적 사용
- 효과적 커뮤니케이션
- 7 Steps 문제 해결 방식
- 우리에게 가장 중요한 문제는 무엇인가? (문제 정의)
- 정의된 문제의 핵심 요소는 무엇인가? (구조 문제)
- 문제의 본질에 접근하는데 있어 가장 중요한 이슈는 무엇인가? (이슈 우선순위 지정)
- 어떻게 팀의 시간을 활용하는 것이 최선인가? (분석 및 작업 계획)
- 우리가 증명해 내고자 하는 것이 무엇인가? (분석 수행)
- 우리가 찾아낸 내용이 지니는 최종 시사점이 무엇인가? (연구 결과 합성)
- 무엇을 시행해야할 것인가? (권장 사항 개발)
다음에 가장 집중해야할 부분은 어디인가? 1번으로 되돌아 감
- 7 Steps 문제해결 접근 방식의 각 Step별 내용 및 학습 목적
- 문제 정의
무엇? 가장 중요한 문제를 파악하고 최대한 구체화하여 정의함
왜? 서로 다른 문제의 정의로 인해 전혀 다른 결과가 나오는 상황을 방지함 - 구조 문제
무엇? 문제를 세부 이슈들로 작게 나누어 해결이 가능한 단위로 쪼갬
왜? 문제 해결을 위해 필요한 주요 이슈를 놓치지 않고 파악하는 동시에, 단독적으로 해결이 가능한 단위로 세분화 함 - 이슈 우선순위 지정
무엇? 가설수립 후, 중요하며 영향이 큰 이슈에 우선적으로 자원을 배분함
왜? 소요 자원 대비 결과물의 극대화를 위해 프로젝트 운영을 효율화 함 - 분석 및 작업 계획
무엇? 결과 도출을 위해 필요한 작업 및 분석 파악 후 스케쥴 및 담당자를 지정함
왜? 조기에 모든 팀원들이 함께 작업 계획을 수립하여 효율적인 업무 수행을 가능케 함 - 분석 수행
무엇? 실질적으로 담당한 분석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도출함
왜? 가설의 검증 및 제안의 도출을 위해 필요한 분석을 효과적으로 수행함 - 연구 결과 합성
무엇? 분석 결과를 통합하여 간결하면서도 실행 가능한 메시지를 도출함
왜? 단순히 결과의 집합(Summary)이 아닌 의미 있는 시사점 도출을 위함 - 권장 사항 개발
무엇? 피라미드 구조를 활용한 커뮤니케이션 방식을 통해 문제 해결의 결론을 전달함
왜? 커뮤니케이션 스킬 습득을 통해 최종 결과물의 효과적인 전달을 가능케 함
- 문제 정의
'QA > PM' 카테고리의 다른 글
Notion - 한 페이지에서 다중 DB 데이터 보는 방법 (0) | 2025.03.12 |
---|---|
소프트웨어 튜토리얼 작성 규칙 (0) | 2025.03.05 |
맥킨지 7S 모델 - 맥킨지 7S 프레임워크 (2) | 2025.02.21 |
프로젝트 완성 기술 (0) | 2025.02.16 |
킥오프 온보딩 차이 (0) | 2025.0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