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A/PM

프로젝트 산출물

eddiej24 2025. 2. 14. 19:00

보편적인 정보를 현회사에 맞추어 진행하였습니다.


프로젝트 산출물은 프로젝트의 각 단계에서 생성되는 문서나 자료를 의미합니다. 

크게 둘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관리 산출물
: 주로 PM이 작성하며, 프로젝트 계획, 진행, 종료를 관리하기 위한 문서

  • 착수 문서: 프로젝트 시작 전에 작성하는 문서(현회사에서는 생략 됨)
  • 계획 문서: 일정, 인력 등의 계획을 수립하는 문서(노션 페이지 속성 '일정', '담당자' 등으로 대처)
  • 수행 문서: 프로젝트 진행 중 작성하는 문서(노션 페이지로 대처)
  • 종료 문서: 프로젝트 마무리 시 작성하는 문서(비고. 회고)

2. 수행 산출물
: 실무자(QA, 기획자, 개발자 등)가 작성하며, 프로젝트 실제 작업을 기록하는 문서

  • 분석 문서: 요구사항 분석 및 시스템 분석 문서(결과: 기획서)
  • 설계 문서: 시스템 설계 및 화면 설계 문서(결과: Figma로 UI 및 기능 설명 수록)
  • 구현 문서: 개발 및 테스트 문서(결과: 체크리스트, 결함 티켓 등)
  • 이행 문서: 시스템 인수인계 문서(현회사에서는 생략 됨)

QA 프로젝트 산출물

1. 테스트 계획서(Test Plan)

  • 목적: 테스트의 범위, 접근 방법, 자원, 일정 등을 정의
  • 내용: 테스트 목표, 테스트 항목, 테스트 전략, 자원 할당, 일정 계획 등
    • 테스트 목표: 테스트 결과 보고(주로 Checklist 내 성공율, 각 항목 우선순위를 보고 운영서버 배포 여부 결정 됨)
    • 테스트 항목: 기획서 기반으로 Checklist 작성
    • 테스트 전략: 자원 현황과 프로젝트 Deadline에 따라 변동
    • 자원 할당, 일정 계획: 자원 현황과 프로젝트 Deadline에 따라 변동

2. 테스트 케이스(Test Case)

  • 목적: 각 기능에 대한 테스트 시나리오(Test Scenario)를 상세히 기술
  • 내용: 테스트 ID, 테스트 항목, 테스트 절차, 예상 결과, 실제 결과 등

3. 결함 보고서(Defect Report)

  • 목적: 발견된 결함을 기록하고 추적
  • 내용: 결함 ID, 결함 설명, 심각도, 우선순위, 상태, 재현 단계 등

4. 테스트 요약 보고서(Test Summary Report)

  • 목적: 테스트 결과를 요약하고 분석
  • 내용: 테스트 수행 결과, 결함 통계, 테스트 커버리지, 주요 이슈 및 개선 사항 등
더보기

테스트 커버리지 = 코드 커버리지 ⇒ 화이트박스 테스트를 통해 측정 됨

5. 회고 보고서(Retrospective Report)

  • 목적: 테스트 과정에서의 문제점과 개선점을 분석
  • 내용: 테스트 과정 평가, 문제점 분석, 개선 방안 제안 등

 

 

p.s.

  • 기능/비기능 테스트 수행 중
  • 성능 테스트 없음

맺음말로써, 5번째 회사를 재직중인 QA로써 프로젝트 산출물에 대한 제 생각을 말씀드립니다.

 

그 동안 여러 협업 도구와 방식, 프로젝트 관리, 각기 다른 프로젝트 산출물(유/무 포함), 책과 선/후배를 통해 얻게된 지식과 교훈 등 결국,

프로젝트 산출물에 대한 수학적인 정답은 없다고 생각합니다. 논리적인 정답 방식처럼 현재 자신이 속한 조직에 맞게 변형하고, 가감하되 정도(正道)를 벗어나지 않도록 계속 노력하고, 고객 중심의 결과(프로그램 등)를 내는 것에서 프로젝트 산출물의 쓰임은 충분하다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