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A

QA에 관한 성찰

eddiej24 2025. 2. 17. 21:48

커리어에 대한 고민을 시작으로

성찰 과정을 통해 현재를 파악하고, 미래를 계획하며, 하고 싶은 일과 해야하는 일을 구분해보려 합니다.


SQA 요구되는 주요 스펙

1. 기술 스킬

  • 버그 추적 시스템(JIRA, Bugzilla 등)
    → 노션 칸반보드 활용 중
  • 테스트 자동화 도구(Selenium, JUnit, TestNG 등)
  • 프로그래밍 언어(Python, Java, C# 등)
  • CI/CD 도구(Jenkins, GitLab CI 등)

2. 소프트 스킬

  • 문제 해결 능력
    : 복잡한 문제를 분석하고 해결하는 능력
  • 커뮤니케이션 능력
  • 디테일에 대한 집중력
    : 작은 오류도 놓치지 않는 꼼꼼함

 

(위 SQA 스펙에 이어서) 나의 발전과 이를 알리는 방법

1. 전문성 강화

  • 고급 자격증 취득(ISTQB AL, CSTE 등)
  • 최신 기술 습득(AI 테스트 자동화, 클라우드 기반 테스트 등)
    • 계속 학습: 새로운 기술과 트렌드를 지속적으로 학습하고, 이를 업무에 적용
    • 육 프로그램 참여: 회사에서 제공하는 교육 프로그램이나 외부 강의를 통해 지속적으로 성장

2. 경력 개발

  • 다양한 프로젝트 경험
    • 다양한 도메인과 프로젝트 경험 쌓기, 이는 문제 해결 능력과 적응력 향상에 도움
    • 복잡한 프로젝트: 복잡하고 도전적인 프로젝트에 참여하여 자신의 역량 증명
  • 리더십 역할
    • 팀 리더: 팀 리더나 프로젝트 매니저 역할을 맡아 관리 능력과 책임감 증명
    • 멘토링: 후배를 멘토링하며 자신의 지식을 공유하고, 리더십 발휘

3. 네트워킹

  • 전문가 커뮤니티 참여
    • 관련 세미나, 컨퍼런스, 온라인 커뮤니티에 적극 참여해 인맥 확장
    • 업계 동향 파악: 최신 업계 동향을 파악하고, 이를 업무에 반영

4. 성과 강조

  • 성과 기록
    : 프로젝트에서 달성한 성과를 구체적으로 기록하여, 이를 협상테이블에서 강조
    → 프로젝트 성과, 회고 작성
  • 성과 기반 보상 협상
    : 연봉 협상 시, 자신의 성과를 근거로 보상 요구

모두 읽으셨다면, 중복된 내용이 있음을 느끼셨을 겁니다.

알고 있지만, 그만큼 강조되는 내용이라고도 느껴 더이상 중복된 내용을 제거하지 않았습니다.

 

글을 적고 보니, 해야할 일에 대해 어느정도 정리가 되었습니다.

이 중에는 하고 싶은 일도, 그렇지 않은 일도 있으며, 이제 해야할 일이 하고 싶은 일이 되도록 마인드컨트롤이 조금 필요하다는 결론을 스스로 내리며 글을 이만 마치겠습니다.